원래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365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기구독료를 납부해야하지만 특정 조건을 충족한다면 충분히 무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365를 무료로 사용하는 2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검색이나 구글링을 통해 오피스365 무료 사용방법에 대해 검색해 보면 학생용 계정을 통해 복잡한 과정을 거치라고 안내되어있는데,
사실 개인 사용자에 한해서는 일부 기능이 제한되지만 기본으로 무료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아래 방법을 따라해보신다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오피스365 프로그램을 공식적으로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1. MS 웹브라우저 엣지 사용
한때 웹브라우저 시장을 장악하다시피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구글의 크롬이 등장하면서 점차 점유율이 떨어지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익스플로러를 단종시킨 후 ‘엣지’라는 웹브라우저를 새로 출시하였습니다.
이와 동시에 엣지에는 오피스365 프로그램도 같이 사용할 수 있게끔 넣어놨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사용 방법은 굉장히 쉽습니다.
먼저 마이크로소프트 사용자 등록을 위해 회원가입을 합니다.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웹브라우저를 PC에 설치한 후 빙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 추가 메뉴가 나오는데 그 중 오피스365 아이콘을 찾아 클릭하고 로그인하기만 하면 됩니다.
굉장히 쉽죠?
아래 링크를 이용해 마이크로소프트 회원가입 및 엣지 설치 후 오피스365 프로그램을 이용해보세요.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는 윈도우10 이상이 설치되어 있다면 기본 설치되어 있고 그 이하의 윈도우에서는 별도 설치가 필요합니다.
엣지 실행 후 오피스365 소프트웨어 실행 방법은 아래 그림에서 오른쪽 상단 빙 아이콘 클릭 후 아래 나오는 메뉴 중 중간쯤 보이는 푸른빛의 정육각체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로그인 후 오피스365 웹버전을 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인터넷 환경 웹버전 무료사용
그런데 사실 굳이 엣지 웹브라우저가 아니더라도 인터넷 환경에 접속되어있는 PC라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로그인만으로 오피스365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바로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웹 무료사용버전을 이용할 수 있는 페이지로 접속 가능한데요,
아마 이 방법을 모르시는 분이 대다수일 것 같은데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일부로 그런건지 몰라도 찾기 어려운 곳에 꼭꼭 숨겨져있기 때문이 아닐까싶네요.
저도 겨우 찾았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가입 한 후 위 링크로 접속하여 로그인 한 다음 웹에서 바로 사용하기만하면 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365는 ‘마이크로소프트365’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원래 개인용 기준 마이크로소프트365의 월 구독료는 8천9백원, 연 구독료는 8만9천원이고 대학생이라고 해도 월 3천9백원의 구독료 납부를 통해 이용해야합니다.
무료버전과 유료버전이 다른 점이 있다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서비스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무료버전에서는 5GB만 이용할 수 있는 반면
구독료 납부를 통한 유료버전은 무료 1TB의 공간을 제공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365를 학습 또는 업무용으로 많이 사용한다면 당연히 5GB의 용량은 턱없이 부족할텐데요,
이런 클라우드 서버 공간 제공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생산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사용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마침 애플의 아이폰과 아이패드, 맥북 등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애플 계정의 클라우드 공간을 월단위 구독하는 것과 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