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른쪽 목 멍울 혹 생겼을 때 임파선 비대 진료 후기

며칠 전 자고 일어났는데 오른쪽 목 부근이 뻐근해져서 뻐근한 부위를 만져보니 혹같은 멍울이 생겼습니다. 다른 증상으로 가벼운 두통, 오한과 비슷한 느낌, 안구가 불편한 느낌 등이 있었는데요, 이비인후과에 가보니 임파선 비대 진단을 받았습니다.


임파선 비대 증상

임파선 비대는 오른쪽 목에 작은 멍울, 혹 같은 것이 만져집니다.

멍울, 혹이 생긴 부근에 뻐근함이 느껴지며 오른쪽 팔, 등, 허리 등이 대상포진이나 오한이 걸린 것 처럼 시리고 애리는 기분 나쁜 느낌이 듭니다.

앉았다 일어서는 등 수그렸다가 일어서면 순간적으로 두통이 짧게 일어나며 눈동자를 좌우측으로 보내면 눈이 피로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처음에는 일시적인 현상인 줄 알았지만 2~3일이 지나도 오른쪽 목의 멍울과 멍울이 생기면서 동반한 두통, 오한, 안구 피로함 등의 느낌도 없어지지 않아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아봅니다.


임파선 비대 진단

집 근처의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받아보니 의사선생님이 목을 만져보자마자 임파선이 부은 것 같다라고 이야기 해 주었습니다.

자세한 것은 초음파 검사를 해 봐야 알 것 같으니 초음파 검사도 진행해 보았습니다.

초음파 검사를 진행해보니 역시나 초진 의견과 마찬가지로 임파선이 부은 것으로 확인하였고 한 부위가 아니라 안쪽에 더 부어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네요.

추가로 진료실에서 내시경 도구를 이용해 코, 귀, 목 안을 추가로 확인해보았는데 다행이 특이증상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임파선 비대를 확인하고 코, 귀, 목 안을 내시경을 통해 확인해보는 이유는 다른 곳에도 같은 증상을 보이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으로 특별한 소견은 없어 단순 염증으로 보입니다.


임파선 비대 원인

임파선이 비대해지는 원인은 일반적으로 세균 또는 바이러스균이 호흡기계통을 통해 체내에 침투 해 감염하는 경우가 많다고합니다.

대표적인 바이러스로 연쇄상구균, 포토상구균 등이 임파선 비대의 원인균으로 볼 수 있습니다.

비정형 결핵균이나 블루셀라균 등과 같은 결핵균이 체내에 침투해 임파선염이 발생 될 수 있습니다.

임파선에 염증이 생기기 전의 질병으로 혈액암, 임파종, 유육종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등이 선행질환에 속합니다.

과로, 스트레스 등으로 몸에 면역력이 저하되었을 경우 역시 임파선에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임파선 비대 예방

목에 멍울 또는 혹이 발생했을 때 임시방편으로 조치할 수 있는 사항으로 멍울, 혹 부위에 냉찜질을 합니다.

어떠한 질병과 마찬가지로 임파선이 비대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식습관이 중요합니다.

대표적으로 기름진 음식, 인스턴트 식품, 밀가루 음식, 우유, 달걀 등의 음식은 줄이고 야채, 과일 등을 이용해 우리 몸에 영양소를 잘 공급해주는 등 균형잡힌 식단을 유지합니다.

조깅, 스트레칭과 같은 운동을 꾸준히 하면서 항상 최상의 신체 컨디션을 유지하고 피로와 스트레스는 최소화하여 면역력을 강화합니다.


임파선 비대 치료

임파선이 비대해지는 것은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세균, 바이러스균이 내 몸에 침투했을 때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별다른 치료가 없어도 자연히 멍울, 혹의 크기는 작아지며 없어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다른 원인이나 양상으로 임파선이 비대해졌을 때 멍울, 혹이 작아지지 않거나 되려 더 커지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원인이 아닐 수 있으므로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진료를 꼭 받아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저의 경우도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받고 처방받은 약을 복용했는데 목의 멍울 부분을 만져도 통증이 없어졌고 오한, 대상포진같은 느낌도 사라졌으며, 두통이나 안구의 불편함 역시 해소되었습니다.

목에 멍울, 혹이 발생했을 때 임파선이 비대해져 반응성 림프절염일 가능성이 높지만 방치할 경우 임파선에서 생긴 암세포가 몸으로 전이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꼭 진료를 받아보세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