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표 문서편집프로그램인 한글과컴퓨터는 문서 작성시 기본적으로 hwp파일로 저장됩니다. hwp파일을 pdf파일로 변환하고자 할 때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쉽고 간단한 방법 3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한글 프로그램에서 PDF파일로 저장
PC에 한글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면 더 생각해볼 필요도 없이 한글 프로그램에서 PDF파일로 저장 기능을 이용하면 됩니다.

한글 프로그램의 상단 메뉴바에서 파일을 클릭하면 ‘PDF로 저장하기(F)’라는 항목이 나오는데 해당 기능을 이용하여 PDF파일로 저장하면 됩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PDF파일로 저장시 선택사항으로 저장 범위, 저장 대상, 그림 저장 품질 등의 세부적인 사항을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만약 hwp파일이 읽기 전용이거나 일부 기능에 제한이 걸린 한글뷰어를 통해 파일을 실행한 경우라면 인쇄기능을 사용할 수 없을 것 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일단 인쇄를 눌러 인쇄 대화상자를 열어 프린터 선택 창에서 ‘Microsoft Print to PDF’를 선택 후 인쇄를 클릭하면
프린터에서 출력이 되는 것이 아닌 지정한 경로에 PDF파일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2. 웨일 브라우저 이용
한글 프로그램, 한글뷰어 모두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네이버에서 만든 웹브라우저인 웨일을 이용하여 pdf파일로 변환 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는 한글과컴퓨터와 MOU협약을 맺어 브라우저 자체적으로 hwp뷰어의 기능까지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먼저 PC에 네이버 웨일을 설치한 후 pdf파일로 변환하고자 하는 hwp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나온 팝업 메뉴에서 ‘연결프로그램 – 네이버 웨일’을 클릭하면
웨일 브라우저를 통해 해당 hwp파일이 열리게 됩니다.


이 때 우측 상단의 프린터 모양을 클릭한 후 인쇄의 대상을 프린터가 아닌 ‘PDF로 저장’을 선택하고 하단의 인쇄를 클릭하면 지정한 경로에 PDF파일로 저장이 됩니다.
3. 파일변환 사이트 이용
한글 프로그램이나 한글 뷰어, 그리고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의 사용도 어렵다면 인터넷에서 무료로 파일변환을 해주는 곳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이트가 ‘all in pdf(올인PDF)’라는 곳인데요,
이 사이트는 한글파일인 hwp파일을 비롯하여 거의 대부분의 파일 확장자에 대해 pdf파일로 변환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사이트입니다.
접속하여 설명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PC가 인터넷에 연결만 되어 있다면 사이트에서 지원하는 거의 대부분의 확장에 대해 변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온라인에서 파일변환시 원본파일은 30분 내 서버에서 영구 삭제되기 때문에 파일이 유출될 걱정 또한 없습니다.
브라우저 기반으로 서비스 되기 때문에 엣지(익스플로러), 크롬, 사파리 등 대부분의 모든 웹브라우저를 지원하고 윈도우, 리눅스(유닉스), 맥 등 운영체제 또한 대부분 지원합니다.
사용방법은 매우 직관적이라 편리한 편입니다.

all in pdf 사이트에 접속하면 보이는 큰 파란박스 안에 pdf로 변환하고자 하는 hwp파일을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통해 담거나,
박스 내 우측 하단에 조그맣게 보이는 ‘파일 선택’을 클릭해도 됩니다.